[일요와이드] 집값 내리막·깡통전세 우려 확산…2023년 전망은?<br /><br /><br />2023년 새해가 밝았지만, 부동산 시장 먹구름은 짙어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내년에도 금리 인상 기조가 유지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는데요.<br /><br />하지만, 동시에 정부가 다양한 부동산 관련 규제 완화방안을 내놓으면서 부동산 시장과 건설업계에 다소 숨통이 트일 것이란 분석도 나옵니다.<br /><br />올해 부동산시장 전망을 전문가와 이야기해보겠습니다.<br /><br />고종완 한국자산관리연구원 원장 어서 오세요.<br /><br /> 지난해부터 침체한 부동산시장, 올해도 크게 다르지 않으리라 생각됩니다. 전 세계 통화당국이 내년에도 금리 인상 기조를 유지하기로 했는데요. 올해 부동산 경기가 더 위축될 거라고 내다보세요?<br /><br /> 최근에는 깡통 집값, 깡통 전세 우려의 목소리가 큽니다. 지난해 상반기까지만 해도 '영끌'과 '빚투'로 공포 매수에 나섰던 젊은 층이, 이번에는 반대로 공포 매도에 나서고 있다는 분석인데요. 그렇다면 올해 안에 부동산시장 저점이 올 거라고 예상하세요?<br /><br /> 매수심리는 얼어붙었지만, 정부가 다양한 연착륙 방안을 내놓으면서 숨통은 트일 것으로 보입니다. 대출이나 세금, 청약 등 혜택을 늘리거나 규제를 풀어주는 내용이 많은데요. 올해부터 바뀌는 제도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?<br /><br /> 특히 세금 부분을 좀 더 들여다보면요. 종합부동산세 개편을 일단락지은 정부, 올해는 양도소득세를 대대적으로 손보기로 했습니다. 중과세율도 완화하고 다주택자의 중과 부담도 덜어준다는 건데요. 더 나아가서 중과제도 자체가 다시 폐지될 수도 있다는 얘기가 나오더라고요?<br /><br /> 무순위 청약은 확대됩니다. 해당 지역에 거주해야 한다는 조건을 폐지해, 앞으로는 누구나 무순위 청약에 참여할 수 있는데요. 무주택자에게 청약 기회가 얼마나 확대될지 관심이에요?<br /><br /> 앞서 규제지역 추가 해제 같은 대책도 내놓았었죠. 하지만 미국 금리 인상으로 인한 불확실성이 지배하는 한 절대적인 외부 변수를 국내 정책으로 대응하긴 어렵다는 진단도 나옵니다. 이 부분 어떻게 평가하세요?<br /><br /> 공급의 경우, 지난해 정부가 공언했던 대규모 주택 공급에 차질이 생길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됩니다. 중견 건설사의 잇따른 부도로 건설업계의 위기감이 고조된 데다 공급보다는 미분양 주택 해소가 먼저라는 의견도 있는데요?<br /><br /> 앞으로는 세입자가 집주인 동의 없이 체납세금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 임대인 개인정보를 고려해 보증금이 일정 금액을 초과하는 세입자에게만 적용되는데요. 전세 사기를 방지하기 위한 묘책이 될 수 있을까요?<br /><br /> 지난해 재테크 수단 1위는 달러였습니다. 다음으로 금과 원자재, 예금 순이었는데요. 반면 부동산과 주식, 암호화폐는 모두 하락세였죠. 그런데도 올해 가장 유망한 투자 상품을 꼽으라면 무엇을 추천하시겠습니까?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